정부의 물가지수를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 상황이 좋질 않아 한국은행이 긴축재정을 필수가 없다고 하네요. 인플레이션은 유가인상에 모든 책임을 돌리려나 봅니다. 유가 떨어지고 나면 무엇을 탓할까요. 이들은 물가 인상의 주 원인이 자신들에 있다는 것을 속이고 있습니다.
투자기관과 헤지펀드 매니져들이 널리 읽고 분석하는 경제학중에 Austrian school이라는 학파가 있습니다. 이 학파는 물가지수를 이상하게 측정하고 속이려는 자체를 부정합니다. 이들의 정의에 따르면 inflation은 money supply가 production보다 증가하였을때라고 합니다. 그 반대는 deflation이라 하겠지요. 이들의 사전에는 물가가 오르는데 경제 성장은 둔화되는 stagflation은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기름값이 많이 올랐다고 합시다. 월급 만원중에 이전에 1000원 썼던 기름값을 세배인 3000원을 지불한다면 우리는 7000원밖에 남지 않아 다른 물건들을 살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물건의 가격은 수요감소로 내려가게 되어있고 물가의 총액은 변하질 않게 되지요. 경제 성장 때문에 물가가 오른다고 한다면 이 학파 사람들은 정색을 합니다. 원래는 경제 성장과 함께 생산성이 증가하여 물가는 컴퓨터처럼 가격이 계속 내려가야만 한다고 합니다. 이들에 의하면 inflation은 정부와 중앙은행의 무분별한 통화정책으로 야기된다고 합니다. 이들의 학설이 투자기관과 헤지펀드 매니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commodity & asset price 변동을 매우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가격와 주식/채권 시장의 변동이 중앙은행의 지준율이나 이자율에 민감하게 이동하는 이유는 이것이 중앙 은행의 money supply에 더 많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inflation을 정부의 가장 큰 세금으로 생각합니다. Money supply 15% 증가는 여러분의 임금을 15%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분이 모아온 저축 또한 15% 빼앗은 결과입니다. 노조들이 백날 임금인상 싸워봤자 소용 없습니다. 쥐도 새도 모르게 여러분의 임금과 저축한 돈을 빼앗기고 말지요. Inflation시기에는 돈을 최초로 잡아 소비하는 사람들이 이득입니다. 그래서 정부, 은행, 사업가, 투자기관등등이 처음으로 돈을 만지게 되고 나머지 월급쟁이나 노동자들은 마지막에 돈을 만지게 됩니다. 그러니 빈부 격차는 이 시스템이 만들어낸 필연적인 결과입니다. inflation이 세금이라는 점에서는 미 연방은행의 밴버넹키 역시 동의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한국 정부는 그것도 모자 그동안 미국 inflation을 고스란히 수입하여 왔었습니다.
Money supply는 일반 은행이 (결국은 여러분이) 돈을 한국 은행에서 빌려야만 증가시킬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그 돈이 다시 은행에 돌아오고 또 빌려주고 돌고 돌아 은행이 먹고 살지요. 그래서 쓸데없이 은행들이 근사한 건물에 있을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중앙은행들이 무서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money supply를 더 이상 늘릴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돈이 안돌기 시작하였기 때문입니다. 돈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자회사인 일반 은행들의 수익이 떨어지게 되지요. 미국은 이미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도 곧 오겠지요. 여기에 정부와 한은은 어떻게 해서든지 은행들을 지키려고 할 것입니다. 물론 얼마 남지 않은 여러분의 돈을 갖고서요.
|